주요사업 | 내용 | 사진 |
---|---|---|
주간재활 프로그램 |
지역사회에서의 건강한 재활과 회복을 위해 약물증상교육, 긴장이완훈련, 일상생활훈련, 사회기술훈련, 여가활동훈련 등 5대 프로그램을 기점으로 욕구에 맞춘 다양한 주간재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 | ![]() ![]() |
직업재활 사업 |
치료 및 재활로 인해 직업을 잃었거나, 직업을 구하고자 하는 분들을 위하여 직업재활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 직업재활프로그램으로 취업 전 동기강화, 취업프로그램 ‘지피지기’, 취업지원교육 ‘JOB-다’(컴퓨터 자격증반), 취업자 보수교육 등을 통한 체계적인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. | ![]() ![]() |
가족지원 사업 |
재활을 위한 가족의 역할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교육을 실시 하고 있으며 더불어 가족들의 자조모임을 결성하여 가족들의 정서적 지지와 역량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 | ![]() ![]() |
정신건강증진 및 홍보사업 |
시민들의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해소를 위하여 지하철 무료 심리검사, 정신건강의 날 행사, 자살 예방의 날 행사 등 각종 행사를 실시하고 잇습니다. 홍보를 위하여 소식지 발간, 모금행사, 지역 사회 유관 기관 연계 등 지역사회에 다가가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. | ![]() ![]() |
특화사업 | 정신질환자 간의 대인관계 훈련 및 지지관계를 형성하고자
연령대 별, 성별을 나누어 자조모임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20대 자조 모임 : 미래이음 여성 자조모임 : 단미모 남성 자조 모임 : 남자의 품격 |
![]() ![]() |
자원봉사 및 후원사업 |
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시설 운영을 위하여 자원봉사자 및 후원자, 모금함 설치 사업장 등 시설의 도움을 주신 분들을 수시 모집하고 있습니다. | ![]() ![]() |
정신건강 코칭서비스 |
가가정 방문 및 시설 내방 서비스 등을 지원하여
정신질환자들의 입원을 예방하고 지역사회에 적응하여
취업 및 자립생활을 지원하는 바우처 사업입니다. -본인부담금- 1등급(기초생활수급자) 22,000원 2등급(중위소득 20%) 33,000원 |
![]() |